<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간 2시간 이상의 범교과 학습주제로 다루어지는 학교 다문화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문화교육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학교 다문화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흥미에 맞는 교육자료와 학습자 주도의 참여형 교수방법이 요구됨에 따라, ‘다문화교육 게임’이라는 새로운 교육 방안을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대표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는 ‘편견과 차별’의 내용을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교재나 동영상 자료가 아닌, 초・중학생용 게임으로 학습할 수 있게끔 개발한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논의하였다. <다름너머 AI 탐정단>이라는 제목의 다문화교육 게임콘텐츠는 연구팀과 개발팀의 협력으로 개발되었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설계 방향을 수립하였다. 결과물은 ‘디지털・인공지능 소양, 학습자 자기주도성, 협력적 상호작용 강조’, ‘학습 대상자의 발달 수준과 흥미에 맞는 교육 콘텐츠 개발’, ‘게임과 학습활동을 통한 디지털 역량 및 다문화 역량 증진’으로 수립한 설계 방향에 맞게 개발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개발한 다문화교육 게임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기본 교안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학교에서의 교육 활용 가능성과 접근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게임 기반의 다문화교육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량 개발을 촉진하는 역동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multicultural education game content designed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in schools,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orporated as an interdisciplinary learning theme for over two hours annually.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educational materials that align with students’ interests and participatory,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introduces an innovative approach using game-based learning. Focusing on the core theme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study presents the creation of Beyond Differences: AI Detective Team, a game tailor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ext-based materials or videos. The development process involved collaboration between a research team and a development team, with expert reviews validating the research framework and final design. The game adheres to key design principles, including: (1) emphasizing digital and AI literacy, learner autonomy, and collaborative interaction; (2) aligning educational content with learner’s developmental stages and interests; and (3) fostering digital and multicultural competencies through gameplay and associated learning activities.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s a basic teaching guide to support the integration of the game into classrooms, enhancing both the practicality and accessibilit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game-based learning as a dynamic tool for addressing critical issu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promoting active engagement and skill development among students.
주제어: 다문화교육, 편견, 차별, 게임 콘텐츠, 콘텐츠 개발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Prejudice, Discrimination, Game Content, Content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