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ㆍ연구

 
연구성과

[논문] 초·중등 다문화교육을 위한 게임 콘텐츠 개발 : <로컬스톤 탐험대>를 중심으로(김성미, 권미경, 서은숙)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84회 작성일 24-08-02 10:31

본문

<국문 초록>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다문화교육을 위해서 문화다양성, 편견과 차별에 대한 비판, 갈등과 갈등 관리를 주제로 하여 자기이해, 상황이해, 비판적 사고의 다문화 역량을 키우기 위한 게임 콘텐츠 <로컬스톤 탐험대>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하고 교수설계 절차에 근거하여, 12명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서 사용성 평가와 수업 운영에서의 고려 사항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콘텐츠 개발에서 학습내용의 관점에서는 난이도, 학습 시간 및 분량, 이해 용이성, 학습목표 명확성, 학습활동 구조화, 언어적 정확성, 다양성 및 편견 방지를 고려하였다.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지원 안내, 조작 용이성, 접근성, 기기 호환성, 가독성, 직관성, 몰입성의 요소에 주안점을 두었다. 더불어 콘텐츠 활용 수업 운영에서 예상되는 유익한 점과 어려운 점, 「교사용 지침서」와 「학습자 활동지」에서의 개선 사항, 수업 지원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게임 요소를 결합한 향후 다문화교육 콘텐츠 개발과 실행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학교 다문화교육의 교수설계에 있어 질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game content <Local Stone Explorers>, which focuses on themes 

such as cultural diversity, criticism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and aims to enhance 

competencies in self-awareness,  situational  understanding,  and  critical  thinking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multicultural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formulate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game cont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procedures, feedback 

was gathered from 12 experts on usability evaluation and operational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content, 

aspects such as difficulty level, learning time and volume, ease of understanding,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structuring of 

learning activities, linguistic accuracy, diversity, and bias prevention were considered. From the user experience perspective, 

elements such as instructional support guidance, ease of operation, accessibility, device compatibility, readability, intuitiveness, 

and immersion were emphasized. Additionally, for the operation of classes utilizing this content, beneficial points and challenges 

were anticipated, and improvements in the 「Teacher's Guide」 and 「Student Activity Sheets」 were identified. Support  

requirements for classes utili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were also ass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ubsequent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that 

incorporates game elements and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주제어다문화 역량, 초·중등 다문화교육, 게임 콘텐츠, 게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Keyword: Multicultural Competency, Elementary & Secondary Multicultural Education, Game Content, Game Based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 감사의 글

초 ·중등 다문화교육을 위한 게임 콘텐츠 개발 연구의 각 단계에서 많은 도움을 주신 동국대학교 이주다문화통합연구소 

박애스더 교수님과 유수빈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04626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6길 2 동국대학교 충무로영상센터 신관 218호 Tel. 02-2272-2013(연구소)/2017(사회통합프로그램) E-mail. imi2013@dgu.ac.kr
Copyright(c) 2016 DONGGU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