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ㆍ연구

 
연구성과

[논문] 학교 다문화교육 교재에 대한 교사 요구: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인터뷰를 중심으로(박애스더, 권미경)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107회 작성일 23-07-26 12:20

본문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원활한 다문화교육을 위해 어떠한 교재가 필요한지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초저・초고) 및 중학교 교사 13명을 발달 단계와 학교급별 차이를 고려하여 세 개 그룹으로 나누어 서면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 사례분석 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적으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방법’으로 구성된 다문화교육 교재에 관한 요구와 학교현황이 도출되었다. 또한 세 그룹 교사 모두 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교재의 교육 목표로 꼽았다. 그 외 교재에 관한 요구를 중심으로 각 학교급별 결과를 보면, 교사가 인식한 초등 저학년 교재의 교육 내용은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학생에 관한 구체적인 예시를 바랐으며, 놀이중심 교수학습방법을 요구하였다.초등 고학년 교재의 교수학습방법은 도서의 활용, 토론, 역할극, 등의 구체적인 활동과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 사이의 교류를 요구하였고, 내용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기를 원하였다. 그 외 교재 활용 가능성을 제고할 것과, 학년별 맞춤 교재의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원활한 수업 전개를 위해 즉시 활용 가능한 단계별 수업 자료 및 인터넷 활용 자료를 요청하였다. 중학생 대상 교재의 교육 내용은 교과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학생의 관심이 높은 한국 사회의 최신 이슈를 담아낼 것을 요구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학생 주도 활동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다문화교육 시 활용 가능한 교재에 관한 교사의 요구를 질적으로 파악하여 다문화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deal teaching materials for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written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3 teachers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developmental stage and school leve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KJ method, which is a type of qualitative cas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 demands and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xt book, consisting of education goals,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from the three groups. All three groups of teachers considered enhancing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ies as the educational goal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xt book. In terms of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the demands differed by school level. For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the teachers wanted specific examples related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content and preferred play-based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xt book was required to include specific activities such as using books, discussions, role-plays, and fostering communica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It was also required that the content cover various topics. In addition, the teachers also requested the text book with high usability, grade-specific materials, lesson plans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and internet-based materials. For middle school, the teachers wanted the text book that could enhance the linkage between subjects and include the latest issues in Korean society that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y preferred student-led activities as a teaching method.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qualitative data on the demands of teachers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education text books and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주제어: 다문화교육, 학교, 교재, 교사 요구, KJ법

Keyword: Multicultural Education, School, Textbook, Teacher Demand, KJ Method 

04626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6길 2 동국대학교 충무로영상센터 신관 218호 Tel. 02-2272-2013(연구소)/2017(사회통합프로그램) E-mail. imi2013@dgu.ac.kr
Copyright(c) 2016 DONGGU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