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KJ법을 통한 사례 연구(박애스더, 서은숙)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128회 작성일 23-01-02 16:35본문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받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유기술 답변을 질적 사례 연구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내용’, ‘평가’, ‘요구’라는 총 3개 그룹이 도출되었다. 사례 수가 많은 순으로 각 그룹의 구성 내용을 보면 첫째, 교육 내용은 ‘다문화수용 태도 계발’, ‘지식 정보 습득’, ‘긍정적인 관계형성능력 함양’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육에 대한 평가는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상회하였다. 셋째, 교육에 대한 요구는‘교육의 변화’, ‘교육 기회 증진’이 도출되었고 교육의 확대를 반대한다는 소수 의견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다문화교육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322 middle school students’ free writing answ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KJ method, thre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erived: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Educational Demand”,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367 labels. The sub-content of the groups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Content” was largely composed of “Multicultural Acceptance Development, “Acquisi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iv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Seco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Negative” and “Posi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negativ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xceeded the positive. Third, the “Demand fo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mand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 a minor opinions who are “Opposing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consumers.
주제어: 한국다문화교육, 중학생, 다문화교육 인식, KJ법
Keyword: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KJ method